안내자료

은총의 숲 이야기

교회와 가정에서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창조세계를 회복하는 흙공, 씨드볼(Seed ball)도 만들고 은총의 숲도 후원하는 '네팔 은총의 숲 씨드볼 후원 키트'를 소개합니다. 은총의 숲 센터(www.graceforest.org)에서는 네팔 은총의 숲에서 숲 조성에 사용하고 있는 나무 씨앗을 넣은 흙공, 씨드볼을 직접 만들어 보고, 네팔 은총의 숲을 후원하는 ‘네팔 은총의 숲 씨드볼 후원 키트’를 통한 생태환경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네팔 은총의 숲 씨드볼 후원 키트’는 10,000원의 후원금으로 네팔 은총의 숲에 씨드볼 100개를 후원하고, 씨드볼 4개를 만들 수 있는 흙, 씨앗, 토양 영양제, 보관 트레이, 기념 버튼 등의 씨드볼 재료가 들어있는 씨드볼 제작 키트입니다. ​씨드볼은 오래 전부터 선조들이 풀과 나무를 잘 자라게 하기 위해 사용해온 고대의 지혜를 활용한 식물 재배 방법입니다. ​도심에서 공터나 사유지에 식물이 자라는 정원을 만드는 '게릴라 가드닝'을 하던 분들이 씨드볼을 던져 식물을 자라게 하는데 사용해서 '씨앗 폭탄'(씨드봄, Seed Bomb)이라고 하기도 한답니다. (그래도 폭탄이라니... 좀 무섭죠?^^ )  현재 네팔 은총의 숲을 조성하고 있는 선교단체 TREE에서는 현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 씨앗을 넣은 씨드볼을 사용해서 산불과 기후변화로 황폐해진 네팔의 숲을 회복하는 일에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은총의 숲 센터에서는 교회와 가정에서 씨드볼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네팔 은총의 숲을 후원하실수 있는 '네팔 은총의 숲 씨드볼 후원 키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제 '네팔 은총의 숲 씨드볼 후원 키트'로 씨드볼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드릴께요. 먼저 씨드볼 키트에 들어있는 재료입니다.키트에 들어있는 재료 1세트로 4개의 씨드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찱흙 1개, 여러 종류의 씨앗이 들어있는 상토1봉지, 씨드볼 보관을 위한 4구 종이 트레이1개 입니다. (은총의 숲 핀버튼은 선물입니다.^^) 바닥에 신문지나 종이상자를 깔고 상토를 과감하게 부어주셔요.참, 사용하는 재료들은 모두 친환경 제품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셔요. 나중에 손을 씻을 수 있는 환경이면 장갑을 안 끼고 맨손으로 작업을 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손으로 상토와 찰흙을 조물조물 잘 섞어주셔요. 혹시 찰흙이 너무 단단하면 물을 조금만 더해서 부드럽게 만들어 주세요.동봉한 상토 봉지에는 패랭이꽃, 달맞이꽃, 제비꽃, 데이지꽃, 코스모스 등 모두 15 종류의 씨앗들이 들어있습니다.상토는 씨앗에 영양이 되는 유기질 성분이니, 상토가 남지 않도록 찰흙과 잘 섞어주세요. 자, 이제 상토와 잘 반죽한 찰흙을 4등분, 네 덩어리로...
2025.04.18
네팔 은총의 숲을 조성중인 현지 단체 TREE에서 숲을 조성하는 활동을 담은 사진을 보내오셨습니다.네팔은 현재 건기 기간으로 이 시기에 나무 씨앗을 채취해서 모종과 씨드볼을 만들고, 나무를 튼튼하게 자라게 할 거름 바이오차(Biochar)를 만드는 작업을 하는 시기라고 합니다.이렇게 기른 모종과 씨드볼을 5,6월에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심어두면 우기에 비를 맞고 뿌리를 내리게 되는 거죠.먼저 나무 묘목을 만드는 사진입니다. 건강한 나무에서 씨앗을 직접 채취해서 트레이에서 싹을 틔운 다음, 나무가 어느 정도 자라면 포트로 옯겨심어 묘목을 만드는 모습입니다.네팔 남부 헤토다 지역은 아열대 날씨라 2,3월에도 낮 기온이 30도가 넘어 물만 충분하면 식물이 빠르게 성장합니다. 묘목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나무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데 대략 3~9주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네팔에서는 숲에 소나 염소를 방목하시는 분들이 많아 가축들이 잘 먹지 않는 나무를 잘 선정해서 심어야 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나무를 심기 전에 현지 마을분들에게 어떤 나무를 심는 것이 좋을 지 의견을 듣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안 그러면 애써 키워서 심은 묘목들이 가축들의 한끼 식사가 될 수도 있습니다.이 모든 작업들을 네팔 은총의 숲 양묘장에서 현지 스태프들이 직접 진행하고 있습니다. 묘목을 심을 때 흙에 뿌려주는 거름, 바이오차를 만드는 사진입니다. 아열대, 열대지역의 토양에서는 활발한 미생물 작용으로 식물의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어 유기질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바이오차는 유기물 가열해서 만드는 데, 토양의 수분과 영양분을 유지해서 토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탄소를 토양에 고정하는 효과도 있어 최근 농업 부분의 탄소배출을 줄이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네팔 은총의 숲에서는 해외에서 유입되어 네팔의 숲에서 교란종으로 번식하고 있는 나무를 채취해 바이오차를 만들고 있습니다.숲과 토양을 모두 건강하게 만들고 탄소도 포집하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는 것이죠.  드럼통을 한가득 채운 나무로 바이오차를 만들면 원래 나무의 1/10 정도로 부피가 감소합니다.  네팔 은총의 숲에서는 이 바이오차를 퇴비와 섞어 미생물을 충분히 배양시킨 다음 퇴비로 활요하고 있습니다.   
2025.03.07
​은총의 숲에 나무 한 그루를 심고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를 !은총의 숲에서는 은총의 숲에 나무 한 그루를 후원하시는 분들께 제로웨이스트 가게 나아지구에서 구성한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를 선물해드리고 있습니다.2025년 은총의 숲-나아지구의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후원 세트’는 2종류 입니다.- 30,000원 후원 세트 : 은총의 숲 나무 1그루 후원 + 대나무칫솔, 고체치약, 바디바, 샴푸바, 린스바, 실리콘 칫솔 커버, 광목 파우치- 35,000원 후원 세트 : 은총의 숲 나무 1그루 후원 + 대나무칫솔, 고체치약, 바디바, 샴푸바, 린스바, 실리콘 칫솔 커버, 광목 파우치, 접이식 실리콘 컵 후원에 참여하시면, 은총의 숲에 1그루의 나무를 후원하고, ‘제로 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를 선물받으실 수 있습니다.- 후원금 입금하신 후 선물을 받으실 주소와 전화 번호를 graceforest2008@naver.com으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후원 계좌는 농협 301-0009-6346-21 사)한국교회환경연구소(은총의 숲) 입니다.이런저런 여행을 갈 때마다 여행용 세면도구를 새로 사게 되는데, 여행용 세면도구는 내용물이 적게 들어있어 조금만 사용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세면도구 용기들은 재활용이 잘 되지 않는 것들이 많아 모두 쓰레기가 되고 맙니다.그래서 해마다 몽골 생태기행을 준비하고 있는 은총의 숲에서는 생태기행 참석자들에게 제로웨이스트 가게 나아지구에서 구성한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를 만들어 선물해드리고 있답니다.‘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는 생산부터 폐기까지 쓰레기를 최소화한 친환경 사양으로 엄선한 고급 세면도구 세트로 몽골 생태기행 참가자 분들께 호평을 받아왔습니다. 주변에 뜻깊은 날을 맞아 즐거운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이 계신가요? 생태적인 여행을 위해 은총의 숲에 나무 한 그루도 후원하고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를 선물하시면 어떨까요?​​​2025년도에 새롭게 구성된 ‘제로웨이스트 여행용 세면도구 세트’의 자세한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1. 대나무 칫솔 : 대나무 칫솔은 18g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2. 고체 치약 30정 : 민트향이 가득한 고체 치약 1~2정을 씹다가 양치질을 하고 물로 헹구시면 양치질 끝!3. 여행용 바디바, 샴푸바, 린스바 세트 : 라벤더, 현미, 코코넛 오일 성분이 들어있는 고체 어네너티 세트 입니다.4. 실리콘 컵 : 용량은 200ml로 접이식으로 만들어 가볍게(90g) 휴대하면서 일회용컵 사용을 줄일 수 있어요!5. 광목 파우치, 실리콘 치솔 커버 : 여행 중에 비누 세트와 칫솔 보관을 위한 구성품 입니다.- 최대한 포장재를 없애기 위해 노력했고, 파우치도 다용도로 쓸 수 있도록 프린팅을 하지...
2025.02.01
지난 10일과 24일, 2주에 걸쳐서 춘천동부교회 초등부에서 그린스쿨이 진행되었는데, 은총의 숲에서 아이들을 위한 기후생태교육을 진행했습니다.​첫째 시간에는 왜 그리스도인이 창조세계를 지키고 돌보아야 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생명의 길 초록 발자국' 실천에 대한 내용을 반 별로 팀을 나눠서 주사위를 던져서 말이 이동하는 보드게임 형식으로 진행했습니다.아이들이 처음에는 좀 시큰둥해 하더니 점점 주사위놀이에 빠져서 분위기가 너무 과열될 정도로 재미있게 게임에 참여했답니다.두번째 시간에는 하나님의 선물인 숲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몽골과 네팔에서 만들고 있는 은총의 숲에 대한 사진을 보고 지구를 살리는 씨드볼 만들기를 체험해봤습니다.​조물조물 찰흙과 상토를 반죽해서 꽃씨를 넣고 씨드볼을 만들어 트레이에 예쁘게 담아두었다가 내년 봄에 씨드볼을 직접 뿌려볼 예정이랍니다.다 만든 씨드볼 트레이에 은총의 숲 스티커를 붙이고, 안에는 숲을 위한 기도를 적어보는 것으로 두 번에 걸쳐 진행된 그린스쿨이 마무리 되었습니다.이번 교육에 사용된 씨드볼 만들기 체험 키트 재료비는 춘천동부교회 초등부 이름으로 네팔 은총의 숲 후원금으로 전달되었습니다.https://blog.naver.com/graceforest2008/223672175785
2024.11.25
 기독교환경운동연대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은총의 숲 센터에서는 지난 11월 21일에 ‘기후위기 시대, 녹색선교와 한국교회’라는 주제로 열린 하반기 정기 세미나를 한국기독교회관 701호 회의실에서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 발표자인 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학 조해룡 교수는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바라본 은총의 숲 사역’에 담긴 생태학적 선교 과제‘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창조세계의 보전과 생태계 회복을 위해 그리스도인들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은총의 숲이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에 보내진 하나님의 선교적 도구로서 창조세계의 회복과 하나님의 선교적 샬롬을 선포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두 번째 발표자인 네팔 선교단체 TREE 대표 김경수 선교사는 ’네팔의 기후위기 피해 현황과 선교적 접근‘이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산악 국가인 네팔에서 홍수, 폭우, 산사태, 기상이변 등 기후위기 상황이 상상 이상으로 심각“함을 전하며, 네팔 TREE에서 헤토다 지역에서 양묘장을 운영하며 나무 씨앗을 넣은 흙공 ’씨드볼‘(Seedball)을 한 해에만 450,000개 이상을 만들어 숲을 복구하며 지역 주민을 교육해온 네팔 녹색선교 사역을 보고했습니다.  세 번째 발표자인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이현아 연구원은 ’세계교회협의회 케냐 나이로비 토지와 기후 완화 및 적응 워크숍 사례‘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아프리카, 중남미, 아시아 지역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한다는 미명 아래 진행되고 있는 ’녹색 경제‘가 오히려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를 파괴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는 사례를 보고하고, ”교회의 녹색 선교가 역사적, 경제적, 생태적 맥락 속에서 깊은 성찰을 통해 진행되어야 할 것“을 이야기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세미나 자리에서는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은총의 숲 센터에서 네팔 은총의 숲 조성을 위해 네팔 TREE에 10,000,000(일천만)원의 숲 조성 기금을 전달하는 약정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기독교환경운동연대 김영현 사무총장은 ”지난 15년 동안 몽골에서 은총의 숲을 조성해온 한국교회가 네팔에서도 은총의 숲을 통해 창조세계 회복을 위해 숲을 조성하게 되어 감사한다“고 이야기하며 많은 교회들이 숲 조성 사업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2024년 하반기 은총의 숲 세미나 및 네팔 .. : 네이버블로그
2024.11.22
지난 10월 20일 청주제일교회에서는 기장 충북노회 기후정의위원회의 주관으로 2024년 기후정의 한마당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친환경, 제로웨이스트 제품들과 지구를 위한 52주 캠페인 자료, 기후정의 관련 도서 전시도 함께 진행되었는데, 예배에 참석하신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습니다. 특별히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몽골 은총의 숲 생태기행을 다녀오신 생태기행팀들이 특송을 해주셨고 소수교회 백현주 목사님께서는 생태기행을 다녀오신 소감을 발표해주셨습니다. 몽골 은총의 숲 생태기행을 다녀와서 ​소수교회 백현주 목사 이른 아침부터 준비하고 1차 괴산에서 모이고 증평에 12명이 다 모였다. 벤을 타고 인천 공항으로 출발한다. 인천 공항에서 비행기가 출발 3시간 정도 지나서 징기스칸 공항에 도착 입국절차를 밟고 짐을 찾고 우리를 기다리시는 이진형 목사님을 만났다. 그리고 버스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황량한 너른 들판 풀들이 미처 자라지 못해서 연한 녹색의 향연이다. 산은 높지 않고 우리나라 뒷동산의 높이의 산이 계속 된다. 어느 곳이든 큰 나무는 보이지 않고 그저 너른 연두색 벌판만 보인다. 공항 주변에는 그래도 아스팔트 길이었는데 갈수록 그냥 흙만 있는 길 아니 풀들이 난 곳에 두 줄의 바퀴 길이 생겼다.​ 한참을 가니 너른 들판 한 가운데 작은 숲이 보이고 숲속에 들어오니 게르와 삼격형의 집들이 보인다. 그리고 식당과 화장실이 보인다. 드디어 은총의 숲에 도착 각방에 둘 씩 배정이 되고 세 명이 한 게르에서 자게 되었다. ​ 짐을 풀고 저녁 시간 식당에 다 앉았다. 밥은 양이 적고 빵, 치즈, 요거트, 블루베리쨈 과일이다. 개인당 한 접시에 기본이 담아있고 나머지는 함께 먹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밥은 뜸이 덜 들었는지 꼬드밥이다. 그나마 다음 식사 때부터는 우암교회 권사님이 가져오신 고추장 한 통으로 밥을 비벼 먹을 수 있었다. 다음 날 오전에는 물츠크 사막을 걷는다고 모자를 쓰고 준비를 하고 나섰다. 한참을 걸어가니 정말 사막화 되어 가고 있는 곳을 발견합니다. 더 이상 나무와 풀이 자라지 않고 땅은 고운 모래로 뒤덮여 있습니다. 걸아가면 모랫 속에 푹푹 빠진다. 그리고 태양은 얼마나 강렬한지 헉헉거리며 걷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걸었다. 이목사님의 설명을 들으니 몽골에 많은 부분이 계속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하는데.... 따가운 햇살 자꾸 메말라가는 대지 식물들이 뿌리도 내리지 못하고 사막화 되어간다니 참 안타까운...
2024.10.21
https://blog.naver.com/graceforest2008
http://pf.kakao.com/_hk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