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자료

알립니다

5월이 되었지만 몽골은 아직 쌀쌀한 겨울 날씨입니다. 때문에 아직 은총의 숲의 풀과 나무들도 새싹을 틔울 엄두를 못 내고 있지요. 게다가 지금 몽골은 코로나19의 감염의 확산이 멈추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몽골 전역의 토양 황폐화, 사막화의 속도가 빨라져 몽골 전역에 황사 발원지역이 확대되고 있고, 발생 빈도와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몽골 국립대학교 연구팀은 과거 20년(1976~1995년)보다 최근 20년(1996~2015년)동안 몽골 대기가 훨씬 더 건조해진 것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더욱 건조해질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연구팀은 69개 관측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975년부터 2015년까지 몽골 초원의 연평균 기온이 섭씨 1.73도 올랐으며, 연 강수량은 5.2%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가장 크고, 몽골의 목축업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몽골은 노동 인구 중 29%가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고, 인구보다도 20배 가량 많은 약 6000~7000만 마리의 가축이 방목되고 있을 정도로 목축업의 규모가 큽니다. 물론 몽골의 목축이 기후변화에 끼친 영향은 미미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산업국가들의 책임이 훨씬 더 크니까요. 하지만 지금 문제는 몽골의 목축업이 이대로는 지속가능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몽골의 상황에서 앞으로 몽골 은총의 숲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임농업을 중심으로한 지속가능 농업, 생태공동체의 대안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조만간 몽골 은총의 숲에서 나무를 옮겨심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아직 새싹을 틔우지는 못했지만, 나무 뿌리는 꼼지락 꼼지락 물을 들이마실 준비를 하고 있거든요. 바로 이맘 때 빽빽하게 심었던 나무들을 옮겨심어 간격을 넓혀주어야 나무가 더 크게 자라게 됩니다. 그리고 양묘장의 어린 나무들은 차가운 바깥 온도에 적응을 시켜주어야 나무가 스스로 뿌리를 더 깊이 내린다고 합니다. 사진은 몽골 은총의 숲 현지 직원들이 2G폰으로 찍어서 보내주신 몽골 은총의 숲 양묘장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들과 은총의 숲 전경입니다.
2021.05.05
나무를 심으며.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생명에게 '예'라고 대답하는 것이다. 미래에 대한 우리의 신앙을 확인하는 일이다.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과거에 대한 우리의 빚을 인정하는 것이다. 씨앗은 결코 무에서 창조되지 않았다.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자연이 하는 일에 동참하는 것이다. 자연 안에서 모든 생명체가 서로 의존하고 있다.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과거의 잘못에 대한 슬픔의 표시이다. 우리는 은혜로 받은 생명을 당연하다고 잘못 알았었다.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사회적 선언을 하는 것이다. 녹색운동을 위하여 그리고 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바라보기에 즐겁고 영혼을 하늘로 들어올린다.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생명의 나무의 가지들이며 삶과 죽음을 공유한다. 시몬스 목사, 1987년 Fullwood 교회 전임자를 기념하는 나무를 심으며 쓴 시 이 시는 은총의 숲에 대한 시가 아닐까요? 몽골 은총의 숲의 놀라운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앞 사진은 2015년, 뒷 사진은 2019년 입니다. 5년 동안의 숲의 성장이 선명하게 보이시지요? 성서의 이야기 그대로 우리는 심었을 뿐, 자라게 하시는 분은 은총의 하나님 이십니다. 기후위기의 시대, 숲은 우리가 지켜야 할 미래입니다. 계속해서 기독교환경운동연대가 몽골 은총의 숲에 나무를, 미래를 심을 수 있도록 많은 기도와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2020.09.08
https://blog.naver.com/graceforest2008
http://pf.kakao.com/_hkGIn